경제 단어장
고통지수
경제와의동침
2023. 4. 12. 07:21
728x90
반응형
정의
- 고통지수 = 소비자물가상승률 + 실업률
- 고통지수 높을수록 실업자가 늘고 물가는 높아져 그 나라의 삶의 고통이 늘어남을 의미
- 각 나라마다 소비자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계산 기준이 다르고 빈부격차나 조사대상에 따라서도 느끼는 고통 정도가 다름
어원
- 1975년 미국 경제학자 오쿤(A. Okun)이 국민의 삶에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이 큰 영향을 준다는 점에 착안
- 국민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 사용
관련기사
▶ 2일 통계청 발표
- 1월 소비자물가 전년 동월 대비 5.2% 상승, 생활물가지수는 6.1% 상승
▶ 한국은행 최근 보고서
- 불확실성이 커 소비자물가 향후 둔화 흐름.
- 물가 상승 요인 : 국제유가 서서히 끌어올리는 중, 공공요금 인상 자체는 사실이나 기간과 폭이 불확실함.
- 한미 금리 격차 : 외국인 자금 유출 → 원화가치하락 → 수입물가상승 → 물가 상승
▶크리스토퍼 월러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사
- 인플레이션 빠른 진정이 안 돼 빅스텝 얘기까지 나옴
- 물가상승률 목표치에 한참 못 미침
관련용어
- 소비자물가지수(CPI)
- 실업률
확장개념
- 1999년 미국 하버드대 배로 교수는 배로고통지수 발표
- 베로고통지수 = 고통지수 + 국민소득증가율 + 이자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