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단어장
빅스텝 · 자이언트스텝
경제와의동침
2024. 6. 12. 13:01
728x90
반응형
- 뜻풀이
- 국내 언론, 증권사 리포트 등에서 미국 연방준지제도가 물가 조정을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조치를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는 용어들이다.
- 빅스텝과 자이언트스텝은 기준금리를 각각 0.5%p, 0.75% p 인상하는 것을 말한다.
- 기사에서 찾아보기
- 각 기사를 클릭하면 더 자세한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 한국은행 총재, 지난 15일 한 강연에서 한국의 빅스텝이 미국의 자이언트스텝 인상과 같은 충격으로 예상
- 세종대 교수, 무역 의존도가 높아 달러 결제 비중이 높아 환율 문제에서 입장이 다르다고 피력
- 유럽중앙은행(ECB), 기준금리를 0.50%에서 1.25%로 0.75% 포인트 인상했다.
- 자이언트스텝을 밟은 것은 1999년 유로화 도입한 이후 23년 만에 처음이며 제로 금리에서 벗어났다.
- ' 물가 상승률을 시기적절하게 알맞은 수준으로 되돌리기 위한 조치'라고 강조
- 연관된 용어
- 베이비스텝
- 확장개념
- 미국 현지 언론과 경제부처 발표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우리나라에서만 통용되는 한국산 용어이다.
- 미국 Fed는 보통 경제에 미치는 충격을 최소화하면서 물가를 조정하기 위해 기준 금리를 0.25% p씩 이동하는 조치를 단행한다. 0.25% p로 물가 상승을 잡을 수 없다고 판단되면, 0.50% p, 075% p씩 끌어올리기도 한다.
- 함께 보면 더 도움 되는 경제용어
2023.04.24 - [경제 단어장] - 기준금리 (base rate)
기준금리 (base rate)
- 정의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결정하는 정책 금리 한국은행과 금융기관 간에 환매조건부 채권매매(RP)와 대기성 여수신 등의 자금거래를 할 때 기준으로 적용 - 관련기사 ▷ 대출금리 -
econstory.yongjininterior.com
가산금리
기준금리에 신용도 등의 조건에 따라 덧붙이는 금리 (스프레드, spread) 대출 등의 금리를 정할 때 기준금리에 덧붙이는 위험가중 금리 가산금리의 단위 bp(basis point)가 사용된다. 1% = 100bp. 상기 채
econstory.yongjininterior.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