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단어장
이스털린의 역설
경제와의동침
2023. 4. 14. 07:11
728x90
반응형
정의
- 소득이 일정 수준을 넘으면 기본 욕구가 충족되면 소득이 증가해도 행복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는 이론
- 돈이 많을수록 행복감이 높아지지만,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돈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수 있다.
어원
- 1974년 미국 경제학자 리처드 이스털린 교수가 주장한 개념
- 1946년부터 30개 국가의 행복도를 연구했는데 소득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행복도는 소득에 비례하지 않는다른 현상을 발견
관련기사
오마이뉴스에서 이메일을 통해 행복경제학자 리처드 이스털린과 인터뷰한 내용을 정리한 기사이다. 다가오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우리는 돈이 아닌 그 무엇을 좇아야 하는 것일까 라는 큰 주제로 했다. 소득과 행복의 관계, 코로나 대유행에서 얻은 교훈등에 대해 얻을 것이 있는 기사이다.
관련용어
-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
확장개념
- 2008년 베시 스티븐슨 펜실베이니아대 와튼스쿨 교수는 이스털린 교수의 설문보다 더 광범위한 실증 조사를 한 결과, 132개국을 대상으로 지난 50년간 자료를 분석 결과 국가가 부유해질수록 국민의 행복 수준이 높아졌다고 반박.
- 2010년에는 이스털린의 역설을 뒷받침하는 연구 등장. 노벨 경제학상 수상한 디턴 프린스턴대 교수는 논문을 통해 연봉이 7만5000달러이사이라면 소득이 사람들을 항상 훨씬 더 행복하게 만든는 것은 아니라는 결론.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