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단어장
장단기금리차
경제와의동침
2024. 5. 3. 13:01
728x90
반응형
- 뜻풀이
- 일정 시점에서 장기금리와 단기금리의 차이를 말한다.
- 기사에서 찾아보기
- 각 기사를 클릭하면 더 자세한 기사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 연관된 용어
- 기준금리
- 확장개념
- 어떤 시점에서 3년 만기 국고채금리와 한국은행 1 ~ 7일 만기 정책금리의 차이도 장단기금리차로 이해할 수 있다.
- 장단기는 비교하려는 만기의 상대성에 달려있다. 10년을 장기로 보는 경우 3년은 단기로 이해해야 한다
- 장단기금리차가 줄어들면, 경제성장률이 떨어지고, 실업률이 상승하는 등 향후 경제가 더 나빠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런 상황에서 경기진작을 위해 한국은행이 정책금리 인하를 기대하는 경우에는 3년 국고채금리가 정책금리를 하회하는 현상도 발생한다.
- 장단기금리차가 벌어지면, 향후 경제가 좋아질 것이라고 시장이 기대한다고 볼 수 있다. 경제성장률이 잠재성장률에 근접하여 정책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기대가 형성된다.
- 장단기금리차는 채권의 수급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장기채권 수요가 많아지면 장기금리가 하락하여 장단기금리차가 축소되고, 장기채권 공급이 많아지면 장기금리가 상승하여 장단기금리차가 확대된다.
- 함께 보면 더 도움 되는 경제용어
2023.06.28 - [경제단어장] - 스톡옵션 Stock Option
스톱옵션 Stock Option
- 정의 파생상품의 옵션과 같이 일정한 권리 조건이 충족되면 소유주가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옵션. 일반옵션과 마찬가지로 행사가격과 시점이 명기되어 있으며 증권옵션(equity option)으로도 불
econstory.yongjininterior.com
애그플레이션
- 정의 농산물 가격의 급격한 상승이 일반 물가의 상승을 일으키는 현상을 말합니다. - 어원 Agriculture + Inflation = Agflation 농업이라는 뜻의 Agriculture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 - 경제 기사에
econstory.yongjininterior.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