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지표와 대표기사
2023-06-20경제지표[종가] 2023-06-21대표기사
경제와의동침
2023. 6. 21. 09:03
728x90
반응형
경제지표
코스피지수는 전거래일 기준 0.18% 하락한 2,604.91, 다운존스지수는 0.72% 하락한 34,053.87, 원달러환율은 0.23% 오른 1288.00 [원/달러]에 마감했으며, 유가 WTI는 1.03% 하락한 71.19 [USD/BBL]에 마감됐다.
대표기사
▷21일 한국은행
- 5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0.6% 상승, 작년 6월 10% 상승률을 기록한 뒤 11개월 연속 둔화세
- 국제유가의 기저효과 확대로 공산품 가격 하락폭으로 확대한 영향
- 서정석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전월 대비 2개월 연속 하락, 향후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의 하방 요인으로 작요 가능성
▷정부가 국제 밀 가격 하락을 이유로 라면업계 가격인하 압박에 라면기업들은 여전히 높은 원재료 비용이라고 주장
- 시카고선물거래소(CBOT) : 국제 밀 가격은 2020년 6월 1톤당 188달러, 작년 5월 419달러로 정점, 이번 달 233달러로 고점 대비 44.4% 하락
- 라면업계는 정부의 가격인상 자제 요청에도 2021년 8~9월, 작년 9~11월 두 차례에 걸쳐 16 ~ 23%를 인상.
- 정부는 국제 밀 시세가 내렸으닌 라면가격도 내려야 한다고 주장, 라면기업 입장에선 공급받는 밀가루 가격에 변화 없다. 6개월에서 1년 단위로 계약을 맺기 때문. 또한 다른 원재료도 인상으로 인한 이유도 있다고 주장
▷20일(현지시간) 미국 서부텍사스원유(WTI) 선물
- 전장 대비 1.28달러 하락해 배럴당 70.50달러 기록, 북해 브렌트유 선물은 75.90달러로 마감
- 세계 2위 석유 소비국 중국에서 통화완화 강도에 대한 실망에 하락함
- 중국 중앙은행 인민은행은 대출우대금리(LPR)를 10개월 만에 내림. 주택담보대출 기준으로 쓰이는 5년짜리 LPR의 인하폭이 예상보다 작아 시장은 실망감이 역력
- 최근 몇 주 동안 이란과 러시아의 원유 공급 증가가 유가를 내렸지만 중국과 인도의 원유 소비 증가 예상에 낙폭을 제한
- 밀가루값 내렸으닌 라면값도 내려야 라는 추경호 부총리 발언에 주가가 즉각 반응을 했다.
- 20일 유가시장에서 농심은 0.61% 하락한 40만 9000원에 마감.
- 농심의 미국법인인 농심 아메리카의 지난 1분기 원화 기준 매출은 직전 분기 대비 39.72% 증가한 1586억 원, 분기순이익은 637.83% 늘어난 119억 원을 기록
▷19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전세 계약 기간을 2년으로 간주해 분석한 결과
- 올해 하반기와 내년 상반기 사이 계약 만료되는 전국 주택 전세거래 총액은 302조 1700억 원으로 집계
- 국토교통부가 2011년 실거래가 자료 공개한 이래 가장 큰 금액
- 주책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228조 3800억원, 전체 전세 거래 총액의 75.6%
- 최근 전세보증금 미반환 사례는 빌라등 비아파트에서 늘어있어 주의 필요하다고 지적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