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혹시 이런 경험 있으신가요? 뉴스에서 수백 명이 죽었다는 소식을 들어도 별 감흥이 없다가, 친한 친구의 갑작스러운 사망 소식에 눈물을 펑펑 쏟았던 경험 말이죠. 왜 그럴까요? 바로 '나'와 '우리'의 이야기이기 때문입니다.
3C 원칙: 이야기의 심장을 뛰게 하라
스토리텔링에는 세 가지 핵심 원칙, 3C가 있습니다. 바로 캐릭터 (Character), 컨플릭트 (Conflict), 컨스트럭션 (Construction), 즉 인물, 갈등, 구조입니다.
1. 캐릭터: '나'를 주인공으로
이야기에 몰입하게 만드는 가장 강력한 힘은 바로 '나'입니다. 나의 경험, 나의 감정, 나의 이야기는 그 어떤 드라마보다 강력한 공감대를 형성합니다. 무대 위 스피치든, 친구와의 대화든, 주인공은 바로 '나'여야 합니다.
2. 컨플릭트: 갈등 없이는 드라마도 없다
"널 만나러 오는 길에 아무 일도 없었어." 이런 이야기는 아무런 흥미도 유발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널 만나러 오는 길에 고속도로가 꽉 막혔어. 하지만 널 만나고 싶어서 샛길을 찾았고, 기적처럼 길이 뻥 뚫렸지!" 라면 어떨까요? 갈등은 이야기를 흥미진진하게 만들고, 듣는 이를 몰입하게 합니다. 출생의 비밀, 사랑과 배신, 성공과 좌절... 우리가 열광하는 드라마와 영화는 모두 뛰어난 갈등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3. 컨스트럭션: 구조는 이야기의 뼈대
아무리 좋은 재료라도 엉성하게 쌓으면 무너집니다. 이야기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서론-본론-결론의 탄탄한 구조는 이야기를 더욱 빛나게 합니다. "천국과 지옥이 싸우면 누가 이길까요?" 질문으로 시작하거나, "곰은 사과를 어떻게 먹을까요?" 호기심을 자극하는 질문으로 시작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야기꾼의 세 가지 특징
1. 관찰력: 남다른 시선으로 세상을 보라
이야기꾼은 평범한 것도 특별하게 보는 능력이 있습니다. 방송 작가가 된 저의 이야기가 바로 그 증거입니다. 대학교 게시판에 붙은 작가 모집 공고를 보고, 다른 사람이 보지 못한 기회를 발견했죠. 800명 중 3등으로 합격할 수 있었던 비결은 바로 남다른 관찰력이었습니다.
2. 글쓰기 능력: 관찰을 글로 표현하라
관찰한 것을 글로 정리하는 능력은 이야기꾼에게 필수입니다. 글과 말은 다르지만, 콘텐츠가 중요하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3. 끊임없는 호기심: 꼬리에 꼬리를 무는 질문
와인 한 병을 보고도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는 호기심. "1865는 왜 1865일까?" 질문은 이야기를 만들고, 마케팅으로 이어집니다. 칠레 와인 1865가 한국에서 큰 인기를 얻은 비결은 바로 이러한 스토리텔링 마케팅 덕분입니다.
이야기꾼이 되는 5가지 황금 열쇠
1. 관찰: 세상을 남다른 시선으로 보라
게시판을 유심히 보고, 낯선 길을 걸으며 새로운 것을 발견하세요. 혼자 여행을 떠나 천천히 주변을 관찰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2. 메모: 순간의 영감을 기록하라
메모는 잊어버리기 위한 것이 아니라, 기록하고 활용하기 위한 것입니다. 언제 어디서든 메모하는 습관을 들이고, 메모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재활용하세요.
3. 일기: 평범한 일상을 특별하게 만들어라
하루를 되돌아보고 반성하는 일기는 당신의 24시간을 더욱 가치 있게 만들어 줍니다. 일기를 통해 평범한 일상에서 특별한 소재를 발견하고, 글쓰기 능력을 키우세요.
4. 스마트폰 OFF: 관찰, 사색, 메모, 일기에 집중하라
스마트폰에 빼앗긴 시간을 되찾아 관찰, 사색, 메모, 일기에 투자하세요. 낭비되는 시간의 10분의 1만 투자해도 당신의 미래는 달라질 것입니다.
5. 연습: 꾸준함이 답이다
말하기, 스토리텔링, 소재 발굴... 모든 것은 꾸준한 연습을 통해 완성됩니다. 카네기 홀에 가려면 어떻게 해야 하냐는 질문에 "연습하세요!"라고 답한 할아버지처럼, 꾸준한 연습만이 당신을 최고의 이야기꾼으로 만들어 줄 것입니다.
기억에 남는 말을 하는 비결, 스토리텔링이 답입니다.
'경제용어,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다자녀 가구 지원 정책 (2) | 2025.03.11 |
---|---|
새마을 금고 예적금 조회 방법은? (2) | 2025.03.01 |
LLM, 거대언어모델 (0) | 2024.06.11 |
RAG, 검색 증강 생성 (0) | 2024.06.10 |
DDoS 공격 (0) | 2024.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