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기초 배우기5

EBS 다큐프라임 : 앙트레프레너, 경제강국의 비밀 4부 - 왕들의 선택 들어가며 인류 역사 속에서 강대국들의 패권 다툼 뒤에는 늘 전쟁이 있었다. 15 ~ 17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전쟁의 명분으로 앞장서서 외쳐진 것은 '신의 이름'였다. 종교전쟁의 시대 유럽에선 어떤 일들이 벌어진 것일까? 16세기에는 종교와 관련된 폭력이 난무했다. 필립 살맹 : 당시 프랑스, 스위스, 네덜란드에서의 상황을 보면 16세기는 폭력의 시대였다. 장 이브 그리니에 : 전쟁은 16, 17세기 유럽 국가들의 경제적 주권에서 무척 중요한 일부였다. 송병건 (성균관대 경제학과 교수) : 경제적으로 보면 대항해시대가 열리면서 새 항로와 식민지를 놓고 국가들 간의 무력충돌이 일어나는 시기였다. 경제 패권을 놓고 이들 국가들이 치열하게 갈등을 벌이는 시기였다. 대항해의 시대가 가져다준 부와 황금을 차지하기 .. 2023. 4. 28.
EBS 다큐프라임 : 앙트레프레너, 경제강국의 비밀 3부 - 부(富)의 법칙 들어가며 이 영상이 말하는 것은 https://www.youtube.com/watch?v=eBnSkI11huE&list=PL2cXnoEDdx5J2jM_9w2aePKbBh1P8TpFa&index=8 영국의 운하가 만들어진 것은 200여 년 전이다. 당시 이 운하를 통해 버밍엄으로 들어왔다. 그리고 버밍엄에서 만든 상품들 역시 이 운하를 통해 영국 전역으로, 세계 곳곳으로 퍼져 나갔다. 15세기 이탈리아 최고 부자 메디치가와 그 라이벌이었던 알베르티 가는 돈 버는 방법으로 금은보화의 발견과 부자에게 잘 보여 상속자 되기, 고리대금업 그리고 도매무역을 얘기했다. 이 중 현실적인 방법은 도매무역일 것이다. 과연 상업만으로 큰 부자가 될 수 있을까? 17세기 가장 잘 사는 나라는 네덜란드였다. 무역으로 성공한 암.. 2023. 4. 24.
EBS 다큐프라임 : 앙트레프레너, 경제강국의 비밀 2부 - 부자나라의 탄생 들어가며 대항해시대를 개척했던 포르투갈, 스페인이 경제적 부의 흐름을 이어받지 못하고, 후발 네덜란드에게 경제적 부를 선사하게 된 이유를 상세히 설명을 하고 있다. 경제적 부는 막연히 강력한 정치, 군사력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앙트레프레너와 같은 인물의 등장과 동시에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 영상이 말하는 것은 https://www.youtube.com/watch?v=RCjrriklJqI&list=PL2cXnoEDdx5J2jM_9w2aePKbBh1P8TpFa&index=5 동인도회사는 네덜란드가 세계사 정면에 나타나는 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 네덜란드 테슬항을 출발해서 동양의 향신료와 부를 싣고 돌아왔다. 17세기 네덜란드는 황금기를 맞이했고, 경제강국이 됐다. 그때는 아무도 몰랐다, 정치나 군.. 2023. 4. 10.
EBS 다큐프라임 : 앙트레프레너, 경제강국의 비밀 1부 - 창조적 파괴자들 들어가며 경제를 배운다고 표현하는 것보다 익힌다 또는 감을 읽다라고 나는 개인적으로 말하고 싶다. 가랑비 젖듯 나의 옷은 조금씩 젖어들듯, 경제생활에 조금씩 접근하여 그 감을 읽고 싶다고 생각하시면 이 영상을 끝까지, 여러 번 시청하시길 바란다. 결코 그 노력이 나의 경제생활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HYwrJF8lMrs&list=PL2cXnoEDdx5J2jM_9w2aePKbBh1P8TpFa&index=1 이 영상이 말하는 것은 - 어째서 어떤 나라들은 성장하고, 어떤 나라들은 성장하지 않는가. - 부유한 나라는 어떻게 부유해지는가 - 가난한 나라는 왜 여전히 가난한가? - 우리는 자본과 노동, 기계를 보유하고, 대형공장을 건설하.. 2023. 4. 5.
자본주의 1부 돈은 빚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FUXT_m6nzhg&t=1253s 금융자본시스템은 우리나라에서 만든 시스템이 아닙니다. 영국에서 만들어 미국에서 발전된 시스템입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 금융 시스템은 대동소이합니다.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1부 돈은 빚이다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돈이란 무엇일까요? 물가는 왜 자꾸 오르는 걸까요? 가격에 대해 학교에서 배우기는 했습니다. 수요 공급 법칙!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만나 가격이 결정된다는 것입니다. 가격이 오르는 것은 수요가 부족하거나 공급이 부족하다는 뜻입니다. 물가가 오르는 이유가 과연 그 이유 말고 없을까요? 물가가 오르는 것은 수요와 공급의 법칙 말고 다른 이유가 있는 것이 아닐까요? 다른 이유가 있습니다. 돈의 양.. 2023. 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