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기초 배우기

9억5천만원, 대한민국 1인 평생 세금?

728x90
반응형

한 개인이 대한민국에서 태어나서 사망할 때까지 납부하는 총 세금을 정확하게 계산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일입니다. 이는 개인의 소득 수준, 소비 습관, 자산 규모, 그리고 정부의 세법 변화 등 다양한 변수에 따라 크게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한 개인이 평생 낼 세금은 9억 5천만원입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가정했으며, 실제 납주할 세금과 차이이 날 수 있습니다.

 


1. 소득 관련 항목:

연간 평균 소득: 월급 573 만 원, 30세부터 60세까지 31년

이자와 배당 소득 : 월 150만원, 60세부터

연금 소득 : 월 150만원, 65세부터

 

2. 소비 관련 항목:

(연간 평균 소비액:식료품, 의류, 서비스 등 전반적인 소비 지출을 추정치)

월간 소비액 320만 원

 

3. 자산 관련 항목:

(주택 가격 등)

주택 가격 6억 원, 2000cc의 SUV, 1600cc 승용차

 

4. 기타 항목:

 

평균 수명 : 83, 물가상승률 : 연 2%


 

제시된 정보를 바탕으로 개인이 평생 납부할 세금을 항목별로 추정해 보겠습니다. 계산의 단순화를 위해 몇 가지 가정을 추가하고, 실제 세금 납부액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미리 말씀드립니다.

 

 

1. 소득세:

  • 근로소득:
    • 연간 소득: 573만 원/월 * 12개월 = 6,876만 원
    • 30세부터 60세까지 31년간 근로: 6,876만 원 * 31년 = 21억 3,156만 원
    • 소득세는 소득 구간에 따라 다르지만, 단순화를 위해 연간 약 1,000만 원으로 가정: 1,000만 원 * 31년 = 3억 1,000만 원
  • 이자 및 배당 소득:
    • 연간 소득: 150만 원/월 * 12개월 = 1,800만 원
    • 60세부터 83세까지 23년간 소득 발생: 1,800만 원 * 23년 = 4억 1,400만 원
    • 이자 배당소득에 대한 세금은 15.4%의 세율이 적용된다고 가정하면 6천3백8십1만6천원 입니다.
  • 연금 소득:
    • 연간 소득: 150만 원/월 * 12개월 = 1,800만 원
    • 65세부터 83세까지 18년간 소득 발생: 1,800만 원 * 18년 = 3억 2,400만 원
    • 연금 소득에 대한 세금은 연금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단순화를 위해 연간 약 100만 원으로 가정: 100만 원 * 18년 = 1,800만 원

2. 부가가치세

  • 연간 소비액: 320만 원/월 * 12개월 = 3,840만 원
  • 부가가치세: 연간 소비액의 10% = 384만 원
  • 83세까지 소비: 384만 원 * 83년 = 3억 1,872만 원
  • 물가상승률 고려: 매년 2%씩 상승한다고 가정하면, 총 부가가치세는 약 4억 8천만원 으로 추정됩니다.

3. 재산세 및 자동차세

  • 재산세 
    • 주택 6억 원 기준, 연간 재산세 약 100만 원으로 가정
    • 83세까지 재산세 납부: 100만 원 * 83년 = 8,300만 원
  • 자동차세
    • 2000cc SUV: 연간 약 52만 원
    • 1600cc 승용차: 연간 약 29만원
    • 자동차 2대 보유세금 합산: 81만원
    • 83세 까지 납부시: 81만원 * 83년 = 6천723만원

4. 기타 세금:

  • 담배소비세, 주세, 개별소비세 등은 개인의 소비 습관에 따라 다르므로 계산에서 제외합니다.

총 예상 세금:

  • 소득세: 약 3억 2천만 원
  • 부가가치세: 약 4억 8천만원
  • 재산세: 8,300만 원
  • 자동차세: 6천723만원
  • 이자 배당소득세: 6천3백8십1만6천원
  • 총합: 약 9억 5천만원

주의사항:

  • 위 계산은 단순화된 가정을 바탕으로 한 것이며, 실제 세금 납부액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세법은 지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미래의 세금 납부액을 정확히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
  • 물가 상승률이 반영되어 실제 세금 납부액은 더 늘어날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