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84

2023년 3월 20일 대표기사 경제 지표 정리 [2023년 3월 20일 오전 8시 50분] 코스피 2395.69 코스탁 797.39 환율 1309.50 원/달러 유가 WTI 66.74 USB/BBL 한국 기준금리 3.5 % 미국 기준금리 4.75 % 대표기사 5개 정리 현재 한국 기준 금리 3.5%, 2021년 8월 인상 시작으로 300p 꾸준히 증가한 추세, 기준 금리가 인상되면 RP(환매조건부채권매매), 대기성 여수신 금리, 콜시장등 초단기 거래의 금리가 상승으로 금융기관 취급 금리가 올라가며, 대출금리 인상으로 이어집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융당국 대출금리 인하에 대한 압박 수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통화정책과 금융당국간 괴리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미국 실리콘밸리은행 파산으로 스타티업들의 신규 자금줄 확보의 어려움 확대, 그 .. 2023. 3. 20.
주당순이익 EPS 무슨 말인지 EPS는 Earning Per Share의 약자로 기업이 벌러들인 당기순이익을 동기업이 발행한 총 주식수로 나누 값을 말합니다. 주당순이익을 가리키는 것입니다. 기업이 만들어낸 순이익에 대해 주식 1주당 가치를 뜻합니다. 통상 1년 동안 기업이 주식 1주당 얼마나 많은 이익을 창출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EPS가 높다는 것은 경영실적이 양호하고 배당여력도 많다는 것을 의미함으로 주가 상승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전환 사채 (CB, Convertible Bond)의 주식 전환 또는 증자로 주식수가 늘어나면 EPS가 낮아집니다. EPS증가는 신기술, 신제품 출시등 기술 혁신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KT&G의 재무제표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20.. 2023. 3. 2.
기준금리 동결에 따른 또 다른 반응들 1. 환율 오르고, 외국인 자금 빠져나가... 금통위가 약 1년 반에 기준 금리 동결 이후 원-달러 환율이 오르고, 주식시장의 외국인 작금이 빠져나가고 있습니다. 금통위가 국내외 경제주체들에게 한국 긴축 완료의 신호를 보낸 것이 아닌가 하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현재 미국과의 금리차가 1.25%이고, 미국의 긴축이 더 길어질 전망이 되고 있는데요, 그 수익률을 좇아 다니는 외국인 자금은 빠져나가고 완화 가치가 떨어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2. 기준금리 ↑, 가계 대출금리 하락↓. 지난 달 금통위가 1월 기준금리를 3.5% 인상 이후 동결 신호를 내보내자, 시장 금리가 하락했으며, 단기 CD 금리가 기준금리 아래를 맴돌기도 했습니다. 또한 금융당국의 압박으로 예금 및 대출금리 하향시키라고 했습니다.. 2023. 3. 1.
기준금리 동결에 따른 반응들 금통위, 기준 금리 동결에 따른 반응들 어제 금통위에서 기준 금리를 3.5%로 동결했으며 추가 인상 여지를 남겨놓았습니다. 그에 따른 시중 은행의 예금금리의 오름세는 계속 이어질 가능성은 커졌습니다. 예금금리가 현 수준에서 소폭 상향은 하겠지만, 예전처럼 자금 쏠림 현상은 일어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안정적인 예금 투자에서 공격적인 증시 투자 등으로 머니무브의 속도가 붙일 수도 있을 것 같지만, 게임 체인저는 아닐 것 같습니다.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한눈에 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 우리, 신한, 하나, NH농협)중 우리은행 'WON플러스예금'이 가장 높습니다. 우대조건 없이 1,000만 원 , 12개월인 경우 연 3.7%로 입니다. 농협은행의 "왈츠회전예금 II'는 우대이율(급여이체실적과 트리플 회전.. 2023. 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