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용어, 정보

ISA 계좌, 이것 모르고 투자시 일반 계좌보다 불리해진다?

728x90
반응형

흥미로운 계산을 해 볼려고 합니다. 투자금액, 매수/매도 가격, 연 배당률 등을 변수로 활용하여 일반 계좌가 ISA 계좌보다 유리해지는 시점을 파악하는 일반 공식을 도출해 보겠습니다. 이를 위해 몇 가지 변수를 정의하고, 각 계좌의 세후 수익을 수식으로 표현한 후, 두 계좌의 세후 수익이 같아지는 지점을 찾아보겠습니다.

 

1. 변수 정의

  • A: 총 투자금액 (예: 20,000,000원)
  • B: 주식 1주당 매수금액 (예: 100,000원)
  • C: 주식 1주당 매도금액 (예: 130,000원)
  • D: 연 배당률 (소수점 형태, 예: 6%는 0.06으로 표기. 고객님께서 B%로 말씀하셨는데, 혼동을 피하고자 D로 표기하겠습니다.)
  • N: ISA 의무 가입 기간 (통상 5년으로 가정합니다.)

2. 공통 계산 요소

  • 매수 주식수 (S): S = A / B
  • N년간 총 배당금 (Total_Div): Total_Div = A * D * N
    • 설명: 총 투자금액에 연 배당률과 투자 기간을 곱하여 계산합니다. (주식수 x 주당 매수금액 x 연 배당률 x 기간 = 총 투자금액 x 연 배당률 x 기간)
  • 총 자본 이득 (Total_CapGain): Total_CapGain = (C - B) * S = (C - B) * (A / B)
    • 설명: 주당 이득(매도-매수)에 총 주식수를 곱하여 계산합니다.

3. 일반 계좌 세후 수익 공식

일반 계좌의 경우, 국내 상장 주식의 양도차익(자본 이득)은 소액 주주에게 비과세이므로, 배당소득에만 세금(15.4%)이 부과됩니다.

  • 일반_배당세율: 0.154 (지방소득세 포함)
  • 일반 계좌 세후 수익 (NP_Gen): NP_Gen = (Total_Div * (1 - 일반_배당세율)) + Total_CapGain NP_Gen = (A * D * N * (1 - 0.154)) + ((C - B) * (A / B))

4. ISA 계좌 세후 수익 공식

ISA 계좌는 총 이익(배당금 + 자본 이득)을 합산하여 손익통산 후, 비과세 한도(ISA_NonTaxable)까지는 세금이 없고, 초과분(ISA_Excess_TaxRate)에 대해서만 9.9%의 세율로 분리과세 됩니다.

  • ISA_NonTaxable: 2,000,000원 (일반형 ISA 기준), 4,000,000원 (서민형 ISA)
  • ISA_Excess_TaxRate: 0.099
  • ISA 총 이익 (Total_Profit_ISA): Total_Profit_ISA = Total_Div + Total_CapGain Total_Profit_ISA = (A * D * N) + ((C - B) * (A / B))
  • ISA 계좌 세금 (Tax_ISA): Tax_ISA = MAX(0, Total_Profit_ISA - ISA_NonTaxable) * ISA_Excess_TaxRate
    • 설명: MAX(0, X)는 X가 음수일 경우 0을 반환합니다. 즉, 총 이익이 비과세 한도 이내이면 세금은 0이 됩니다.
  • ISA 계좌 세후 수익 (NP_ISA): NP_ISA = Total_Profit_ISA - Tax_ISA NP_ISA = Total_Profit_ISA - (MAX(0, Total_Profit_ISA - ISA_NonTaxable) * ISA_Excess_TaxRate) NP_ISA = ((A * D * N) + ((C - B) * (A / B))) - (MAX(0, ((A * D * N) + ((C - B) * (A / B))) - 2,000,000) * 0.099)

5. 일반 계좌가 유리해지는 시점 (손익분기점)

일반 계좌가 ISA 계좌보다 유리해지는 시점은 NP_Gen > NP_ISA가 되는 시점입니다. 이 공식을 이용하면 NP_Gen = NP_ISA가 되는 C 값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조건: Total_Profit_ISA  ISA_NonTaxable (2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만 해당합니다. 그 이하에서는 ISA가 항상 유리합니다.

위 조건을 만족하는 Total_CapGain (총 자본 이득)을 X라고 했을 때,

  • 일반 계좌 세후 수익: (Total_Div * (1 - 0.154)) + X
  • ISA 계좌 세후 수익: (Total_Div + X) - ((Total_Div + X) - ISA_NonTaxable) * ISA_Excess_TaxRate

두 식을 같다고 놓고 X에 대해 정리하면, X = [Total_Div * (일반_배당세율 - ISA_Excess_TaxRate)] / ISA_Excess_TaxRate + ISA_NonTaxable

이를 풀어서 다시 변수 D(연 배당율)에 대한 일반적인 공식으로 표현하면: 총 자본 이득 (X) X = [(A * D * N) * (0.154 - 0.099)] / 0.099 + 2,000,000 X = [(A * D * N) * 0.055] / 0.099 + 2,000,000 X = (A * D * N * 5/9) + 2,000,000

 X는 일반 계좌와 ISA 계좌의 세후 수익이 같아지는 총 자본 이득을 의미합니다. 이제 이 X 값을 주당 매도 금액 C로 변환해 보겠습니다.

X = (C - B) * (A / B) 이므로, C - B = X * (B / A),  매도 금액 (C) C = B + X * (B / A)

결론: 일반 공식

일반 계좌가 ISA 계좌(일반형 기준)보다 세후 수익이 같아지거나 유리해지는 지점의 총 자본 이득 (X)

X = (총 투자금액 (A) * 연 배당률 (D) * 투자 기간 (N) * 5 / 9) + 2,000,000 (일반형인 경우)

 

 총 자본 이득 (X)가 발생할 때의 주식 1주당 매도금액 (C)

C = 주식 1주당 매수금액 (B) + 총 자본 이득 (X) * (주식 1주당 매수금액 (B) / 총 투자금액 (A))

 

이 공식들을 통해, 어떤 변수들을 대입하시든 일반 계좌가 유리해지는 정확한 자본 이득 지점과 주식 매도 가격을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 이 공식이 고객님의 투자 분석에 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또한 다음 글에 실제 예제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같이 보면 더 가치있는 글

2025.07.29 - [분류 전체보기] - 💰“노후 준비로 비트코인 투자했더니… 수익률이 5104%!?”

 

💰“노후 준비로 비트코인 투자했더니… 수익률이 5104%!?”

연금과 암호화폐, 이제는 전혀 다른 이야기가 아닙니다 🧓 노후 준비에 비트코인? 상상 못한 조합의 등장“비트코인으로 연금?” 한때는 상상조차 어려웠던 조합이 현실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econstory.yongjininterior.com

 

728x90
반응형